유머토끼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서울 SH주택 관련 문의 저는 LH, SH 이런거 전혀 모릅니다.  10년 전에 직장 상사가

저는 LH, SH 이런거 전혀 모릅니다.  10년 전에 직장 상사가 청약통장 만들라고 했을때도 뭔지도 모르고 만들었다가, (그냥 적금통장인줄 알았음) 1년 뒤 돈 찾고 해지했을 정도로 무지한데, 최근에 나이도 들고, 맨날 여기저기 찔끔 살다 이사하는게 한심해 보였던지, 주변에서 누가 SH주택 신청하라길래, 상담원에게 전화를 했더니, 공고 뜨면 알려주겠다는 말만 할 뿐, 1달이 지났어도 아무 달라진 것도 없고,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이사때문에 집 알아보러 다니는데, 요샌 턱없이 월세만 높여받는 곳들이 대다수라 무척 힘든데, 모 부동산에서도 그렇고, 주변 사람들이 동사무소(주민센터) 가서 상담하라길래, 일단 전화로 문의했더니, 주민센터로 SH 신청문의하는건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65세 이상,,등 이런 경우만 해당하더군요. 그보다 주변에서 하는 말들도 다 제각각이고, SH주택 홈페이지 상담원은 문자로 공고 뜨면 보내겠다는 말만 하지, 이게 뭔지, 언제 뭘 어떻게 하는지도 전혀 모르겠어요. 혹시 아시는 분들 도움좀 주세요.

[질문]

저는 LH, SH 이런거 전혀 모릅니다.

10년 전에 직장 상사가 청약통장 만들라고 했을때도 뭔지도 모르고 만들었다가, (그냥 적금통장인줄 알았음) 1년 뒤 돈 찾고 해지했을 정도로 무지한데, 최근에 나이도 들고, 맨날 여기저기 찔끔 살다 이사하는게

한심해 보였던지, 주변에서 누가 SH주택 신청하라길래, 상담원에게 전화를 했더니, 공고 뜨면 알려주겠다는 말만 할 뿐, 1달이 지났어도 아무 달라진 것도 없고,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최근에 이사때문에 집 알아보러 다니는데, 요샌 턱없이 월세만 높여받는 곳들이 대다수라 무척 힘든데,

모 부동산에서도 그렇고, 주변 사람들이 동사무소(주민센터) 가서 상담하라길래, 일단 전화로 문의했더니,

주민센터로 SH 신청문의하는건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65세 이상,,등 이런 경우만 해당하더군요.

그보다 주변에서 하는 말들도 다 제각각이고, SH주택 홈페이지 상담원은 문자로 공고 뜨면 보내겠다는 말만 하지, 이게 뭔지, 언제 뭘 어떻게 하는지도 전혀 모르겠어요.

혹시 아시는 분들 도움좀 주세요.

[답변]

LH·SH 등 공공주택 시스템은 일반인이 쉽게 이해하기엔 복잡하고, 주변 말만 듣고 움직이다 보면 더 헷갈리기 마련입니다. SH공사와 LH공사는 모두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기관이지만, 설립 목적과 관할 지역, 운영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SH공사는 서울시 산하 공기업으로, 서울 거주 무주택자를 위한 행복주택, 장기전세, 공공임대 등을 공급합니다. 반면, LH공사는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으로 서울 외 전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계층에게 국민임대, 전세임대, 공공분양 등을 제공합니다

정리하면, 서울 시민이라면 SH공사와 LH공사 모두 활용 가능하지만, 서울 외 지역 거주자는 LH공사만 해당됩니다. 따라서 본인의 거주지와 신청하려는 주택 유형에 따라 두 기관을 구분해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H공사는 서울시민을 위한 임대주택(행복주택, 공공임대, 전세임대 등)을 공급하며, 무주택자 중 소득·자산 기준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초수급자나 차상위계층뿐 아니라 일반 무주택자도 대상이 될 수 있으니 먼저 SH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후 관심단지를 등록하고, 정기적으로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고 알림 문자는 신청 자격 안내가 아닌 단순 알림이므로, 신청 자격 및 절차는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주민센터는 주로 기초생활자 등 특수계층 대상이므로, 일반인의 경우 SH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청약은 공고 확인 → 접수 → 서류심사 → 당첨 → 계약 순이며, 신청 시 본인의 소득, 무주택 여부, 세대원 정보 등을 정확히 준비해야 합니다. 정보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 구조를 이해하면 이후부터는 어렵지 않으니 처음만 차분히 따라가 보세요.

https://naver.me/GplaMYQE

image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내 집 마련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기준)

내 집 마련은 누구에게나 인생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한 청년이나 새로운 가정을 꾸린 신혼부부에게는 더욱 간절한 과제일 수밖에 없습니다. 높은 집값과 대출 규제, 부족한 자금 사정 등은 이들에게 큰 장벽으로 작용하곤 합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청년과 신혼부부가 꼭 알아야 할 내 집 마련 지원 제도들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청년을 위한 맞춤형 전세자금 대출,...

naver.me